전체 글254 SCV QI Toolkit이란? SCV QI Toolkit: 22가지 도구 완벽 정리출처: Safer Care Victoria, 2024🧭 SCV QI Toolkit이란?SCV(Safer Care Victoria) Quality Improvement Toolkit은 호주 빅토리아주 보건 시스템 내에서 의료의 질과 안전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실용적인 도구 모음집입니다. 현장의 문제를 정의하고, 그 원인을 분석하며, 적절한 해결 전략을 구상하고, 결과를 측정하고, 조직 내에서 지속 가능한 변화를 확산하는 데 필요한 전 단계를 지원합니다.본 Toolkit은 데밍의 System of Profound Knowledge에 기반하여 구조화되었으며, 다양한 헬스케어 현장에서 바로 활용 가능한 템플릿과 예시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22가지 도.. 2025. 6. 19. MYPT 논문 노트 | 졸업 후 1년, 물리치료사들이 EBP에 자신감을 잃는 이유는? MYPT 논문 노트 | 졸업 후 1년, 물리치료사들이 EBP에 자신감을 잃는 이유는? 참고 논문: McEvoy M, Luker J, Fryer C, Lewis LK (2020). Changes in physiotherapists’ perceptions of evidence-based practice after a year in the workforce: A mixed-methods study. PLoS ONE, 15(12): e0244190.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244190 공부하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EBP 교육을 받고 현장에 나간 새내기 물리치료사들이 1년 후 어떤 변화와 어려움을 겪는지 실질적인 데이터와 인터뷰로 분석한 혼합연구입니다. 🔍 연구.. 2025. 6. 18. 무료 논문 찾기 전략: PEDro 영상 2편 “Accessing Full Text” MYPT 영상 노트 | 무료 논문 찾기 전략: PEDro 영상 2편 “Accessing Full Text”논문 제목은 찾았는데, PDF가 없어서 좌절한 적 있으신가요?이 영상에서는 무료로 논문 원문을 얻을 수 있는 다양한 방법과신뢰할 수 있는 논문인지 판단하는 법까지 소개합니다.📚 왜 원문 접근이 중요한가요?논문 초록만 보고 판단하기엔 정보가 너무 부족합니다. 연구 설계, 개입 방법, 결과 해석은 본문을 직접 읽어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죠.근거 기반 물리치료(Evidence-Based Practice, EBP)를 하려면 원문에 접근하고, 내용을 직접 해석할 수 있어야 합니다.🔍 핵심 전략 6가지1. 출판 모델 이해하기논문은 일반적으로 두 가지 모델 중 하나로 출판됩니다. 유료 접근(Toll acc.. 2025. 6. 17. PEDro 언어 장벽, 이렇게 극복한다 – KNGF의 가이드라인 전략 MYPT 영상 노트 | 언어 장벽, 이렇게 극복한다 – KNGF의 가이드라인 전략이 블로그 글은 #PEDroTacklesBarriers 캠페인 다섯 번째 영상 “Language”를 기반으로 정리했습니다. 네덜란드 물리치료학회(KNGF)는 다양한 언어의 문헌을 활용하고, 가이드라인을 영어로 출판함으로써 언어 장벽을 효과적으로 극복하고 있습니다.📌 핵심 요약 KNGF는 국제 및 국가 수준의 기준을 준수하여 근거 기반 가이드라인을 개발합니다. 치료사와 환자를 포함한 이해관계자 중심의 프로젝트 그룹이 구성됩니다. 가이드라인 개발 전,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장벽(barrier)을 평가합니다. 다국어 문헌을 포함한 체계적 문헌고찰(systematic review)을 통해 전 세계 근거를 반영합니.. 2025. 6. 16. 건강 정보, 믿어도 될까? | 문헌 고찰부터 메타 분석까지 쉽게 정리! 💡 건강 정보, 어떤 걸 믿어야 할까요?건강 정보를 검색하면 이런 말 많이 보셨을 거예요: “이 운동이 효과 최고!” “이 음식, 건강에 안 좋아요!”그런데 똑같은 주제인데도 말이 다르거나 반대일 때, 헷갈리시죠? 😵💫 그 이유는 ‘연구 한 개’만 보고 결론 내리는 건 위험하기 때문이에요.그래서 우리는 여러 연구를 모아서 정리한 ‘리뷰(Review)’를 봐야 해요! 그런데 이 리뷰에도 종류가 있고, 믿을 수 있는 정도도 달라요.🥄 1. 문헌 고찰 (Literature Review)이건 말하자면 “그냥 모아보기”예요. 여러 연구를 읽고 요약해요. 하지만 어떤 기준으로 고른 건지 잘 안 나와요. 작성자 생각대로 정리될 수도 있어요.🧠 비유하자면: 맛집 찾는데, 친구가 자기 입맛에 맞.. 2025. 6. 15. MYPT 영상 노트 | 신뢰 구간 이해하기: 효과의 불확실성, 이렇게 읽는다(Confidence Interval) MYPT 영상 노트 | 신뢰 구간 이해하기: 효과의 불확실성, 이렇게 읽는다이 블로그 글은 #PEDroTacklesBarriers 캠페인 영상 “Understanding Confidence Intervals”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핵심 요약 (쉬운 설명) 신뢰 구간(Confidence Interval)은 연구 결과의 치료 효과가 실제로 어느 정도일지 예측하는 범위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치료가 통증을 2점 줄였다고 할 때, 신뢰 구간이 1~3점이라면 실제로는 1~3점 사이에서 효과가 있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p-값은 "효과가 있다/없다"만 알려줍니다. 반면 신뢰 구간은 효과의 크기와 그것이 얼마나 정확하게 측정되었는지도 함께 알려줍니다. 임상의는 신뢰 구간이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최소 효.. 2025. 6. 14. 이전 1 2 3 4 5 6 7 ··· 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