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54 만성 요통 + 원격 물리치료(telehealth) 만성 요통 + 원격 물리치료(telehealth), 핵심만 쉽게 “읽으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는” 초간단 버전 · 예시와 바로 쓰는 팁 포함 1) 왜 이 얘기가 중요한가? 만성 요통 환자 중엔 시골·저소득·소수집단·군인(베테랑) 같은 의료 소외가 많아. 가이드라인은 “운동·교육 중심(비약물) 치료가 1차”라고 말해. 그런데 현실은 약(특히 오피오이드) 과다, 운동치료 부족. 그래서 “원격(전화/영상) 물리치료”가 해결책이 될 수 있는지 실제 현장에서 시험했다. 2) 두 가지 실제 프로젝트 한 줄 요약 AIM-Back(베테랑 의료): “병원 1회 방문 → 6주 원격 PT(필요 시 6주 추가, 심리·행동 코칭 포함)” .. 2025. 9. 20. 온라인(줌) 심리치료로 만성 요통이 나아질까? 📄 논문 리뷰 · 누구나 이해하는 버전 주제: 만성 요통 형태: 줌 그룹치료(4주·8회) 허리 아픈데, 온라인(줌) 심리치료가 진짜 도움이 될까?— 인지치료(CT) · 행동활성화(BA) · 마음챙김(MM) 3종 비교 “무엇을 하느냐”보다 “꾸준히 참여하느냐”가 더 중요했습니다. 한눈 요약(5줄) 줌으로 4주 그룹치료만으로도 ‘통증이 일상에 끼치는 방해’가 상당히 감소. CT·BA·MM 모두 효과 비슷 — 큰 우열 없음. 효과는 3·6개월까지 유지. 부작용 거의 없고, 접근성 최고(대기시간·거리 장벽 ↓). 단, 수면 개선은 BA > MM 경향. 원문: BMC Medicine.. 2025. 9. 19. 허리 아픈 사람들, 운동만 하면 될까? 허리 아픈 사람들, 운동만 하면 될까?— 만성 요통 최신 연구를 쉽게 풀어보기한 줄 요약:운동은 기본! 여기에 교육(통증 이해)이나 행동 전략(조금씩 활동 늘리기)을 곁들이면 통증과 일상 기능이 조금 더 좋아집니다. 다만 차이는 아주 크진 않아요.왜 이 연구가 주목받을까?만성 요통은 단순히 근육·디스크 문제에 국한되지 않습니다. 몸(생물학적), 마음(심리적), 생활(사회적/직업적) 요인이 함께 얽혀 있죠. 그래서 현대 치료는 이 세 가지를 함께 보는 통합 접근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습니다.연구 질문“운동치료만 할 때”와 “운동 + 교육/행동/직업 재활을 결합한 다학제 프로그램”을 비교했을 때, 단기간 통증과 기능 개선에 어느 쪽이 더 효과적일까?연구 방법 (간단 요약)무작위 임상시험 93편8,059명 참여.. 2025. 9. 18. 두려움-회피, 만성 통증을 만드는 숨은 고리 “움직이면 더 다칠까 봐 무섭다” — 두려움·회피가 만성통증을 키운다갑자기 어깨가 ‘쑤욱’ 하고 아픈 순간, 누구나 움찔하며 보호하려 합니다. 이런 반응은 급성기에는 몸을 지키는 좋은 반사예요. 문제는 통증이 가라앉은 뒤에도 계속 “움직이면 위험하다”는 생각 때문에 움직임을 피하고 활동을 줄이게 될 때입니다.🧩 핵심 메시지 - 통증=손상이라는 믿음이 두려움을 키움 - 두려움은 회피 행동을 낳음 - 회피는 단기적으로 안심되지만, 장기적으로는 기능 저하·만성 통증으로 이어짐🧍 사례로 이해하기40대 가사노동자 A씨. 무거운 이불을 올리다 오른쪽 어깨에 번쩍 통증이 왔습니다. “큰일 났다”는 생각에 며칠간 팔을 쓰지 않고, 세수·빗질조차 피했습니다. 의사도 “위로 드는 건 피하세요”라고 말했죠. 결과적으로 .. 2025. 9. 17. 체계적 문헌고찰 Synthesis 단계, 선별한 논문을 어떻게 통합 할까? 📊 체계적 문헌고찰 Synthesis 단계 | 결과를 어떻게 통합할까?이제 선별과 분석을 마쳤다면, 본격적으로 **연구 결과를 통합(Synthesis)** 하는 단계에 들어갑니다. 단순히 “좋은 논문 몇 개 모았어요”가 아니라, 이 논문들의 결과를 **비교하고 연결해서 하나의 스토리**로 만드는 작업입니다.이 글은 WCM ITS (2025). Best Practices for Screening Evidence Synthesis Projects 영상의 주요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Synthesis란 무엇인가요?Synthesis(합성)는 체계적 문헌고찰의 마지막 핵심 단계로, 포함된 연구들의 결과를 비교·대조하고 종합해 해석하는 과정을 말합니다.이 과정은 크게 다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 2025. 7. 2. 체계적 문헌고찰 Screening 논문을 선별하고 분석해 보자 📘 체계적 문헌고찰 Screening & 분석 단계 | 나도 할 수 있다!이제 문헌 검색까지 마쳤다면, 진짜 중요한 **‘선별하고 분석하는 단계’**가 시작됩니다. 많은 논문 중에서 **쓸 만한 연구만 뽑아내고**, 그 연구들이 정말 믿을 만한지 **비판적으로 평가**하는 단계죠.📍 1단계: 검색 결과 정리 (Pre-screening)처음 해야 할 일은 각 데이터베이스에서 몇 개 논문이 나왔는지 기록하는 것입니다.예를 들어, PubMed: 156개, CINAHL: 98개 이런 식으로요. 이 숫자들은 나중에 PRISMA 흐름도에 들어가서, 검색과 선별 과정을 한눈에 보여주는 데 쓰여요.🔍 2단계: 논문 선별 (Screening)단계별로 체계적으로, 그리고 공정하게!① 제목/초록 선별 (Title .. 2025. 7. 1. 이전 1 2 3 4 ··· 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