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물리치료, 정리하며 배우다

전체 글254

PRISMA 2020 흐름도 정리 왜, 어떻게 작성해야 할까? 📚 PRISMA 2020 흐름도 완전 정복 | 왜, 어떻게 작성해야 할까?체계적 문헌고찰(Systematic Review)과 메타분석(Meta-analysis)을 수행할 때, 문헌 검색과 선정 과정의 투명성을 확보하는 가장 중요한 도구 중 하나가 바로 PRISMA 흐름도입니다.이 글에서는 PRISMA 2020 흐름도를 각 단계별로 왜 필요한지, 무엇을 작성해야 하는지를 포함해 상세히 정리했습니다.🔍 PRISMA 흐름도란?PRISMA(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흐름도는 체계적 문헌고찰의 문헌 선정 절차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도구입니다.2020년 개정판은 이전보다 더 많은 정보와 세부 기록을 요구합니다.📋 흐.. 2025. 6. 30.
SCV QI Toolkit 완전 정리 모음 (2024) SCV QI Toolkit 완전 정리 모음 (2024)🧭 이 시리즈는 왜 만들었나요?이 블로그 시리즈는 호주의 임상 현장에서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 Safer Care Victoria (SCV)의 Quality Improvement Toolkit을 기반으로,물리치료사와 보건의료 종사자들이 현장에서 직접 활용할 수 있도록 쉽고 실용적인 언어로 재구성한 콘텐츠입니다.단순한 이론 소개에 그치지 않고, 각 도구가 어떻게 작동하는지,어떤 상황에서 유용한지, 구체적인 적용 예시와 시각 자료를 포함하여 정리했습니다.이 시리즈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대학 과제나 리포트 작성 시 배경 지식 및 사례 인용🩺 임상 실습 중 브리핑 또는 환자 안전 개선 활동 기획🧑‍🏫 QI 교육 세션 발표 자료.. 2025. 6. 29.
QI 프로젝트 마무리 전략: 지속 가능성과 확산 계획 세우기 QI 프로젝트 마무리 전략: 지속 가능성과 확산 계획 세우기출처: SCV Quality Improvement Toolkit (2024)🧭 왜 마무리 전략이 중요한가?QI 프로젝트는 아이디어 실행으로 끝나지 않습니다. 변화가 정착되고, 더 넓게 퍼질 수 있도록 지속 가능성과 확산 계획을 세우는 것이 마지막 핵심 단계입니다.♻️ 지속 가능성(Sustainability)을 위한 전략변화가 일시적 개선으로 끝나지 않고 조직 내 문화로 자리 잡기 위해 다음을 고려합니다:표준화(Standardisation): 개선된 프로세스를 SOP, 업무지침 등에 반영교육 및 오리엔테이션: 신입 직원에게 개선 내용을 교육지속적 모니터링: 지표 추적을 통해 유지 여부 확인책임 배분: 유지 관리 담당자 또는 팀 지정✅ 예시: 재활.. 2025. 6. 28.
개선 아이디어 우선순위 설정: Effort–Impact Matrix 실전 가이드 개선 아이디어 우선순위 설정: Effort–Impact Matrix 실전 가이드출처: SCV Quality Improvement Toolkit (2024)🧭 왜 우선순위 설정이 필요한가?QI 프로젝트에서는 개선 아이디어가 많지만, 모든 것을 동시에 실행할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효과(Impact)와 노력(Effort)을 기준으로 우선순위를 시각화하는 Effort–Impact Matrix가 유용합니다.📊 Effort–Impact Matrix란?가로축에는 '실행 노력(Effort)', 세로축에는 '성과 기대치(Impact)'를 두고, 아이디어를 네 개의 사분면 중 하나에 배치합니다.▲ Effort–Impact Matrix 구성 (출처: Lucidchart)🗂️ 사분면 구성1. Quick Wins: 적은.. 2025. 6. 27.
Histogram, Pareto Chart, Scatter Plot로 QI 데이터 시각화하기 📘 MYPT 논문 노트 | Histogram, Pareto Chart, Scatter Plot로 QI 데이터 시각화하기 출처: SCV Quality Improvement Toolkit (2024) 🧭 왜 데이터 시각화가 중요한가? QI 프로젝트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시각화하면 문제의 원인과 패턴을 쉽게 발견하고, 팀원 간 공유와 의사결정도 빨라집니다. 특히 병원 환경에서는 수치만으로는 보이지 않던 이상치, 집중 영역, 경향성을 그래프를 통해 한눈에 볼 수 있어 실천적 개선으로 이어지기 쉽습니다. 📊 1. Histogram (히스토그램) 데이터의 분포와 집중 영역을 확인할 수 있는 막대 그래프입니다. 일정한 구간(빈도 범위, bins)을 설정하고, 해당 구간에 속하는 값의 빈도를 세어 막대의 .. 2025. 6. 26.
Family of Measures: Outcome, Process, Balancing 지표 설계 실전 가이드 📘 MYPT 논문 노트 | Family of Measures: Outcome, Process, Balancing 지표 설계 실전 가이드출처: SCV Quality Improvement Toolkit (2024)🧭 Family of Measures란?QI 프로젝트에서 개선의 효과를 측정하려면 단일 지표만으로는 부족합니다. 그래서 SCV Toolkit에서는 세 가지 종류의 지표를 함께 사용하는 Family of Measures를 권장합니다:Outcome Measure: 궁극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결과Process Measure: 그 결과를 이루기 위한 과정의 이행 여부Balancing Measure: 개선이 다른 영역에 미치는 부작용이나 영향✅ 구성 요약표지표 유형목적예시Outcome최종 목표 결과 측정퇴.. 2025. 6.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