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물리치료, 정리하며 배우다
My Physio 논문 정리

PRISMA 2020 흐름도 정리 왜, 어떻게 작성해야 할까?

by My Physio New Movement 2025. 6. 30.

📚 PRISMA 2020 흐름도 완전 정복 | 왜, 어떻게 작성해야 할까?

체계적 문헌고찰(Systematic Review)과 메타분석(Meta-analysis)을 수행할 때, 문헌 검색과 선정 과정의 투명성을 확보하는 가장 중요한 도구 중 하나가 바로 PRISMA 흐름도입니다.
이 글에서는 PRISMA 2020 흐름도를 각 단계별로 왜 필요한지, 무엇을 작성해야 하는지를 포함해 상세히 정리했습니다.


🔍 PRISMA 흐름도란?

PRISMA(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흐름도는 체계적 문헌고찰의 문헌 선정 절차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도구입니다.
2020년 개정판은 이전보다 더 많은 정보와 세부 기록을 요구합니다.


📋 흐름도 단계별 자세한 설명

1️⃣ Identification – 문헌 ‘발견’ 단계

  • 무엇을 하나요?
    다양한 데이터베이스(예: PubMed, CINAHL, PEDro)와 레지스트리(임상시험 등록소 등)에서 연구 질문에 맞는 문헌을 검색합니다. 이때 사용한 검색 전략(검색어, Boolean 조합, 필터 등)을 문서화해야 합니다.
  • 왜 중요한가요?
    어떤 출처에서 얼마나 많은 문헌이 발견되었는지를 명확히 보여주면, 검색의 포괄성과 체계성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 기입 예시:
    PubMed: 156개
    CINAHL: 98개
    PEDro: 56개
    Total: 310개

2️⃣ Duplicate Removal – 중복 제거

  • 무엇을 하나요?
    여러 데이터베이스에서 동일한 논문이 중복 검색되므로, 이 중복된 기록을 제거합니다. 수동 또는 소프트웨어(AutoDeduper, EndNote 등)를 사용하여 정리할 수 있습니다.
  • 왜 중요한가요?
    중복 논문을 제거하지 않으면 문헌 수가 부풀려져 결과의 정확성이 떨어집니다.
  • 기입 예시:
    중복 문헌: 58개
    중복 제거 후 남은 문헌: 252개

3️⃣ Screening (Title/Abstract) – 제목/초록 스크리닝

  • 무엇을 하나요?
    남은 문헌들의 제목과 초록을 읽고, 연구 질문(PICO)에 맞지 않는 문헌을 제외합니다. 두 명 이상의 연구자가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 왜 중요한가요?
    빠르게 관련 없는 문헌을 제거하여 효율적으로 선별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 기입 예시:
    제목/초록 스크리닝 후 제외: 180개
    남은 문헌: 72개

4️⃣ Full-text Assessment – 전문 검토

  • 무엇을 하나요?
    제목/초록을 통과한 문헌의 전문(full-text)을 읽고, 포함 기준에 따라 최종 포함 여부를 결정합니다. 제외된 문헌은 그 이유를 반드시 명시해야 합니다.
  • 왜 중요한가요?
    이 단계가 실제 분석에 들어갈 문헌을 결정하는 핵심 과정입니다.
  • 기입 예시:
    전문 입수 불가: 5개
    전문 검토 후 제외: 20개 (예: 연구 설계 부적합: 10, 인구집단 부적합: 6, 중재가 다름: 4)
    최종 포함 문헌: 47개

5️⃣ Included – 최종 포함된 연구

  • 무엇을 하나요?
    모든 선별 과정을 거쳐 체계적 문헌고찰에 최종 포함된 연구 수를 기록합니다.
    이때, 포함된 연구(study) 수 ≠ 논문(article) 수일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합니다.
  • 왜 중요한가요?
    연구자는 단일 연구가 여러 논문에 걸쳐 발표되는 경우를 구분해 투명하게 보고해야 합니다.
  • 기입 예시:
    포함된 연구 수: 40개
    관련 논문 수: 47개

📌 PRISMA 2020 흐름도 버전 선택 가이드

  • 기본 버전: 데이터베이스 및 레지스트리만 사용한 경우
  • 다른 방법 포함 버전: 인용 추적, 기관 웹사이트 등 추가 출처 포함 시
  • 업데이트 버전: 기존 체계적 문헌고찰을 업데이트할 경우
  • 업데이트 + 다른 방법: 위 두 상황이 모두 적용되는 경우

🧰 흐름도 만들기: 따라하기

  • 👉 PRISMA 공식 앱에서 직접 만들기 (추천)
  • 👉 Word 템플릿 다운로드 후 수동 작성도 가능

 

 

PRISMA_2020_flow_diagram_new_SRs_v1(2).docx
0.05MB

PRISMA 2020 흐름도를 논문에 사용할 경우 반드시 아래와 같이 인용하세요:

Page MJ, McKenzie JE, Bossuyt PM, Boutron I, Hoffmann TC, Mulrow CD, et al. The PRISMA 2020 statement: an updated guideline for reporting systematic reviews. BMJ 2021;372:n71. doi:10.1136/bmj.n71

🧠 마무리 요약

  • PRISMA 2020 흐름도는 문헌 검색 및 선별의 시각적 로드맵이다
  • 각 단계에서 숫자와 이유를 명확히 기록하는 것이 핵심
  • 연구자 자신은 물론, 독자와 동료 리뷰어에게도 신뢰를 주는 투명한 보고 방식

📎 참고 영상: https://youtu.be/YnGgTZ38C2o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