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YPT 논문 노트 | Family of Measures: Outcome, Process, Balancing 지표 설계 실전 가이드
출처: SCV Quality Improvement Toolkit (2024)🧭 Family of Measures란?
QI 프로젝트에서 개선의 효과를 측정하려면 단일 지표만으로는 부족합니다. 그래서 SCV Toolkit에서는 세 가지 종류의 지표를 함께 사용하는 Family of Measures를 권장합니다:
- Outcome Measure: 궁극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결과
- Process Measure: 그 결과를 이루기 위한 과정의 이행 여부
- Balancing Measure: 개선이 다른 영역에 미치는 부작용이나 영향
✅ 구성 요약표
지표 유형 | 목적 | 예시 |
---|---|---|
Outcome | 최종 목표 결과 측정 | 퇴원 후 30일 내 재입원율, 낙상 건수 |
Process | 실행 단계의 일관성 확인 | 퇴원 전 교육 이수율, 점검표 작성률 |
Balancing | 부작용 또는 영향 확인 | 간호사 업무 시간 증가, 다른 병동 환자 지연 발생 여부 |
🧪 실전 적용 예시: 낙상 예방 프로젝트
- Outcome Measure: 병동 낙상률 월 2건 이하로 감소
- Process Measure: 고위험 환자 대상 낙상 리스크 평가 완료율 ≥ 95%
- Balancing Measure: 평가 수행으로 인한 환자 대기 시간 증가 여부
📌 설계 시 유의사항
- Outcome만 보면 오해: 과정 없이 결과만 보면, ‘왜 개선되었는지’ 확인이 어려움
- Balancing 없으면 위험: 결과만 개선되고, 다른 영역에 악영향이 생길 수 있음
- 측정은 꾸준히: PDSA마다 세 지표를 모두 추적해야 정확한 해석 가능
📊 체크리스트
- [ ] Outcome 지표는 개선 목표와 직접 연결되는가?
- [ ] Process 지표는 실행의 질을 나타내는가?
- [ ] Balancing 지표는 예상 외 영향을 확인할 수 있는가?
- [ ] 데이터 수집 방식은 현실적으로 가능한가?
📎 참고 자료
👉 다음 포스팅 예고: Histogram, Pareto Chart, Scatter Plot로 QI 데이터 시각화하기
'My Physio 논문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선 아이디어 우선순위 설정: Effort–Impact Matrix 실전 가이드 (0) | 2025.06.27 |
---|---|
Histogram, Pareto Chart, Scatter Plot로 QI 데이터 시각화하기 (0) | 2025.06.26 |
Run Chart & Control Chart로 시스템의 변화 분석하기 (0) | 2025.06.24 |
Cause & Effect Diagram과 5 Whys를 활용한 근본 원인 분석 실전 예시 (0) | 2025.06.23 |
QI 실습에서 사용할 수 있는 팀 구성 전략 & RASCI 매트릭스 작성법 (0) | 2025.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