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물리치료, 정리하며 배우다
My Physio 논문 정리

허리 아픈 사람들, 운동만 하면 될까?

by My Physio New Movement 2025. 9. 18.

허리 아픈 사람들, 운동만 하면 될까?
— 만성 요통 최신 연구를 쉽게 풀어보기

한 줄 요약:
운동은 기본! 여기에 교육(통증 이해)이나 행동 전략(조금씩 활동 늘리기)을 곁들이면 통증과 일상 기능이 조금 더 좋아집니다. 다만 차이는 아주 크진 않아요.

왜 이 연구가 주목받을까?

만성 요통은 단순히 근육·디스크 문제에 국한되지 않습니다. 몸(생물학적), 마음(심리적), 생활(사회적/직업적) 요인이 함께 얽혀 있죠. 그래서 현대 치료는 이 세 가지를 함께 보는 통합 접근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연구 질문

“운동치료만 할 때”“운동 + 교육/행동/직업 재활을 결합한 다학제 프로그램”을 비교했을 때, 단기간 통증과 기능 개선에 어느 쪽이 더 효과적일까?

연구 방법 (간단 요약)

  • 무작위 임상시험 93편
  • 8,059명 참여자
  • 통증: 0–100점 척도로 평가
  • 기능: 표준화 설문 점수로 평가
  • 분석: 여러 치료를 동시에 비교하는 네트워크 메타분석

비교한 치료법

  • 운동치료(ET): 걷기, 근력·유연성 운동 등
  • 다학제 재활(MBR): 운동 +
    • 교육: 통증 이해·대처 방법 배우기
    • 행동 전략: 두려움 줄이고 활동을 조금씩 늘리기
    • 직업/생활 조정: 오래 앉지 않기, 휴식 타이밍 조절 등

결과

  • 운동치료만으로도 효과 있음 → 통증과 기능이 개선됨.
  • 운동 + 교육/행동 전략조금 더 나은 개선.
    • 통증: 교육 포함 시 더 유리
    • 일상 기능: 행동 전략 포함 시 더 유리
  • 그러나 차이는 크지 않음 → 개인차와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이 연구가 주는 메시지

  1. 운동은 필수: 걷기·가벼운 근력·유연성 운동을 허용 가능한 통증 범위에서 꾸준히.
  2. 통증 이해 바꾸기: “아프면 절대 움직이면 안 된다”는 생각은 회복을 늦출 수 있음.
  3. 조금씩 활동 늘리기: 오늘 10분 → 내일 12분 → 15분.
  4. 생활 습관 조정: 40–50분 앉았다면 3–5분 일어나 움직이기.

즉시 병원 가야 하는 신호

  • 심한 외상 이후 통증
  • 다리 힘 급격히 약화·감각 이상
  • 대소변 조절 갑작스러운 문제
  • 원인 불명 고열, 암 병력 동반 통증

왜 맞춤형이 중요할까?

사람마다 통증 양상, 두려움, 직업 환경, 체력, 수면 상태가 다릅니다. 어떤 사람은 교육이, 또 어떤 사람은 행동 전략이 더 잘 맞을 수 있죠. 연구도 “한 가지가 무조건 최고”라고 말하지 않았습니다. 결국 나에게 맞는 조합이 핵심입니다.

간단 체크리스트

  • 🗓️ 주 5일 걷기 20–30분 (+ 근력운동 10–15분)
  • 📝 통증 노트: 언제·어떤 활동·어떻게 달라졌는지 기록
  • ⏱️ 활동 시간 조금씩 늘리기 (예: 10→12→15분)
  • 💺 자세는 “완벽”보다 자주 바꾸는 것이 중요
  • 😴 수면·기분 관리: 가벼운 유산소·호흡운동도 도움

마무리:
운동은 기본! 교육·행동 전략을 곁들이면 회복에 플러스. 정답은 한 가지가 아니라 내게 맞는 혼합입니다.

참고 논문: Jurak, I., Delaš, K., Erjavec, L., Stare, J., & Locatelli, I. (2023). Effects of Multidisciplinary Biopsychosocial Rehabilitation on Short-Term Pain and Disability in Chronic Low Back Pain: A Systematic Review with Network Meta-Analysis. Journal of Clinical Medicine, 12(23), 7489. 원문 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