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물리치료, 정리하며 배우다
My Physio 논문 정리

심부정맥 혈전증(DVT): 무엇이고, 왜 중요하며, 어떻게 관리할까요?

by My Physio New Movement 2025. 5. 19.

심부정맥 혈전증(DVT): 무엇이고, 왜 중요하며, 어떻게 관리할까요?

안녕하세요! 오늘은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지만 종종 간과되기 쉬운 질환인 심부정맥 혈전증(DVT)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DVT는 미국에서 매년 20만 명 이상에게 발생하는 흔한 질환이며, 특히 병원에 입원했거나 수술을 받은 환자에게 더욱 흔하게 발생합니다. 이 글에서는 DVT가 무엇인지, 왜 위험한지, 그리고 어떻게 예방하고 관리해야 하는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DVT란 무엇인가요?

심부정맥 혈전증(Deep Vein Thrombosis, DVT)은 일반적으로 다리의 심부 정맥 내에 혈전(피떡)이 형성되어 정맥 환류를 막는 질환입니다. 이는 폐색전증(Pulmonary Embolism, PE)과 함께 정맥 혈전 색전증(VTE)으로 분류되며, 심장마비·뇌졸중 다음으로 심혈관 사망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왜 발생할까요? - Virchow의 삼주징

  • 혈관벽 손상 (Vessel wall injury): 수술, 외상, 중심정맥 카테터 등
  • 혈류 정체 (Stasis of blood flow): 장시간 침상 안정, 비행, 마비, 비만 등
  • 과응고 상태 (Hypercoagulability): 유전적 소인(Factor V Leiden 등), 암, 감염, 흡연, 호르몬 요법 등

DVT는 얼마나 흔한가요?

DVT는 연간 10만 명당 약 80건 발생하며, 60세 이후 급증합니다. 병원 입원 환자, 암 환자, 수술 환자에게 흔하며, 진단이 누락되거나 무증상으로 경과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DVT의 증상은?

심부정맥 혈전증(DVT)은 때로는 아주 조용히, 아무런 증상 없이 진행되기도 합니다. 실제로 DVT 환자의 절반 이상은 무증상(asymptomatic)입니다.

하지만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징후들이 임상적으로 흔하게 보고됩니다:

  • 편측 다리 통증 (Unilateral leg pain):
    대부분 한쪽 다리에서 발생하며, 송곳처럼 찌르는 듯하거나 둔한 통증으로 표현됩니다. 보행 시 악화될 수 있으며, 종아리 근육을 누를 때 압통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 부종 (Swelling):
    주로 종아리부터 발목 또는 무릎까지 확장되며, 한쪽 다리가 눈에 띄게 붓는 것이 특징입니다. 종종 피부가 팽팽하게 당기는 느낌도 동반됩니다.
  • 홍반 및 열감 (Redness and warmth):
    혈류 정체로 인해 피부가 붉어지고, 만졌을 때 따뜻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는 inflammatory response의 일환으로 이해됩니다.
  • 압통 및 Homan 징후 (Tenderness and Homan’s sign):
    특히 종아리 뒤쪽 정맥 경로를 따라 누를 때 통증이 있고, 환자의 발을 수동적으로 발등 쪽으로 굴곡(dorsiflexion)시킬 때 종아리 통증이 유발되면 Homan 징후 양성으로 간주됩니다. 다만, Homan 징후는 특이도와 민감도가 낮아 보조적 소견에 불과합니다.
  • 표재성 정맥 돌출 및 색 변화 (Superficial vein engorgement and skin discoloration):
    정맥이 막히면 다른 표재성 정맥으로 우회순환(collateral circulation)이 일어나며, 피부 아래 정맥이 도드라져 보입니다. 경우에 따라 피부가 보라색 또는 청색(cyanosis)으로 변할 수 있으며, 이는 혈류 저하를 의미합니다.

요약하면, DVT의 증상은 매우 다양하고 비특이적이어서 간과되기 쉽습니다. 따라서 한쪽 다리의 갑작스러운 부종, 통증, 피부색 변화, 압통이 있는 경우 반드시 DVT를 의심하고 추가 검사를 고려해야 합니다.

DVT는 어떻게 진단할까요?

  • Wells 점수 (Wells criteria): 2점 이상이면 고위험군으로 간주
  • D-dimer 검사: 민감도는 높고 특이도는 낮음. 낮은 위험군에서 선별용으로 사용
  • 정맥 초음파 (Venous ultrasound): 진단의 표준. 대퇴정맥, 오금정맥 압박 검사 포함

DVT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 항응고제 (Anticoagulants): 리바록사반, 아픽사반, 와파린, 저분자량 헤파린 등
  • 환자 맞춤 선택: 암, 간질환, 신질환, 위장 출혈 등 상황에 따른 약제 조정
  • 치료 기간: 일반적으로 3~6개월. 재발 위험이 있으면 장기 투여

보조 치료: 혈전 용해술(Thrombolysis), 압박 스타킹(Compression stockings), 하대정맥 필터(IVC filter) 등

예방이 가장 중요합니다

  • 조기 보행 및 운동 권장
  • 압박 스타킹 착용
  • 고위험군 대상 항응고제 투여
  • 환자·보호자 대상 교육과 복약 순응도 강화

요약 정리

  • DVT는 폐색전증과 함께 치명적일 수 있는 혈전 질환입니다.
  • 발생은 혈관 손상, 혈류 정체, 과응고 상태(=Virchow triad)에 기반합니다.
  • 증상은 다양하며, 절반 이상 무증상이라 조기 인식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 진단은 Wells 점수 + D-dimer + 초음파 조합이 효과적입니다.
  • 치료는 항응고제가 중심이며, 보조요법도 병행됩니다.
  • 무엇보다도 예방과 다학제 협업이 핵심입니다.

참고 문헌:
Weinberg, I., & Jaff, M. R. (2024). Deep Venous Thrombosis (DVT). In: StatPearls [Internet]. Treasure Island (FL): StatPearls Publishing.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50770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