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선 아이디어 우선순위 설정: Effort–Impact Matrix 실전 가이드
출처: SCV Quality Improvement Toolkit (2024)🧭 왜 우선순위 설정이 필요한가?
QI 프로젝트에서는 개선 아이디어가 많지만, 모든 것을 동시에 실행할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효과(Impact)와 노력(Effort)을 기준으로 우선순위를 시각화하는 Effort–Impact Matrix가 유용합니다.
📊 Effort–Impact Matrix란?
가로축에는 '실행 노력(Effort)', 세로축에는 '성과 기대치(Impact)'를 두고, 아이디어를 네 개의 사분면 중 하나에 배치합니다.

🗂️ 사분면 구성
- 1. Quick Wins: 적은 노력, 큰 효과 → 가장 먼저 실행
- 2. Major Projects: 노력도 크지만, 효과도 큼 → 계획 세워 추진
- 3. Fill-ins: 쉬운 과제지만 효과는 적음 → 시간이 있을 때 실행
- 4. Thankless Tasks: 시간만 많이 들고 효과는 적음 → 지양
✅ 실전 적용 예시: 낙상 예방 개선 아이디어
아이디어 | Effort | Impact | 분류 |
---|---|---|---|
침대 알람 설치 | 낮음 | 높음 | Quick Win |
야간 인력 추가 배치 | 높음 | 높음 | Major Project |
환자 낙상 예방 포스터 제작 | 낮음 | 낮음 | Fill-in |
일일 위험요인 회의 | 높음 | 낮음 | Thankless Task |
🧠 활용 팁
- 각 아이디어는 팀원들과 함께 평가해 합의 도출
- 환자, 관리자, 간호사 등 다양한 관점 반영
- Quick Win은 PDSA Cycle로 빠르게 실험
- Major Project는 장기계획 + 자원 계획 필요
📌 요약
- Effort–Impact Matrix는 아이디어를 우선순위별로 시각화하는 도구입니다.
- Quick Win부터 실행하면 초기 모멘텀과 성과를 동시에 잡을 수 있습니다.
- 감정이나 직관보다, 데이터 기반 팀 평가로 판단하세요.
📎 참고 링크
👉 다음 포스팅 예고: QI 프로젝트 마무리 전략: 지속 가능성과 확산 계획 세우기
'My Physio 논문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SCV QI Toolkit 완전 정리 모음 (2024) (0) | 2025.06.29 |
---|---|
QI 프로젝트 마무리 전략: 지속 가능성과 확산 계획 세우기 (0) | 2025.06.28 |
Histogram, Pareto Chart, Scatter Plot로 QI 데이터 시각화하기 (0) | 2025.06.26 |
Family of Measures: Outcome, Process, Balancing 지표 설계 실전 가이드 (0) | 2025.06.25 |
Run Chart & Control Chart로 시스템의 변화 분석하기 (0) | 2025.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