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ISMA 다이어그램 쉽게 이해하기: 논문 검색 과정의 보물 지도
PRISMA 다이어그램은 수많은 논문 중에서 우리가 원하는 '보물 같은 논문'을 골라내는 과정을 한눈에 보여주는 깔때기 모양의 지도입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PRISMA 다이어그램을 쉽고 재미있게 설명해 드릴게요 😊
🔍 PRISMA 다이어그램이란?
PRISMA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다이어그램은 체계적 문헌고찰(systematic review)이나 메타분석(meta-analysis)을 할 때 논문을 어떻게 검색하고, 어떤 기준으로 골라냈는지를 단계별로 보여주는 도구입니다.
쉽게 말해, 논문 찾는 과정을 시각적으로 정리한 '보물 지도'라고 할 수 있어요!
📋 PRISMA 다이어그램의 4단계 구조
PRISMA 다이어그램은 보통 위에서 아래로 4단계로 나눠져 있어요. 각 단계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쉽게 풀어볼게요!
1. Identification (확인/찾기 단계)
- 의미: 전 세계 데이터베이스(Medline, Proquest 등)에서 관련 논문을 싹 긁어모으는 단계입니다.
- 예시: Medline에서 526개, Proquest에서 684개 등, 총 n=2374개 논문을 수집합니다.
- 중복 제거: 여러 데이터베이스에서 중복된 논문을 제거해요. (예: 861개 제거)
2. Screening (걸러내기 단계)
- 의미: 남은 논문(예: 1493개)의 제목과 초록만 훑어보면서 우리 연구와 관련 없는 논문을 빠르게 탈락시키는 단계입니다.
- 예시: 제목/초록 보고 1300개 탈락 ➡️ 193개 논문만 남깁니다.
3. Eligibility (자격 심사 단계)
- 의미: 남은 논문(예: 193개)을 전체 읽기 하면서, 미리 정해둔 기준(예: AI 물리치료 관련, 영어 논문 등)에 맞지 않는 논문을 탈락시켜요.
- 예시: 182개 탈락 ➡️ 11개만 최종 포함됩니다.
- 중요: 탈락 이유를 명확하게 기록해야 해요! (예: 대상자가 틀림, 중재방법 불일치 등)
4. Included (최종 포함 단계)
- 의미: 모든 심사를 통과한 보물 같은 논문만 남는 단계입니다!
- 예시: 최종 11개 논문을 분석에 포함합니다.
💡 PRISMA 다이어그램이 중요한 이유
- 투명성: 논문을 어떻게 골랐는지 모든 과정을 시각적으로 설명할 수 있어요.
- 신뢰성: 체계적인 과정을 거쳤다는 점을 보여줘 연구 결과의 신뢰도를 높여요.
- 재현성: 다른 연구자도 같은 방법으로 따라 할 수 있어요 (이론적으로 동일한 결과 가능).
📊 PRISMA 다이어그램 예시 표
단계 | 설명 | 논문 수 |
---|---|---|
Identification | 데이터베이스에서 논문 검색 | 2374개 |
중복 제거 | 중복 논문 제거 | 861개 제거 (1493개 남음) |
Screening | 제목/초록으로 1차 탈락 | 1300개 제거 (193개 남음) |
Eligibility | 전체 읽기 및 기준 심사 | 182개 제거 (11개 남음) |
Included | 최종 포함 | 11개 |
❓ 자주 묻는 질문 (FAQ)
1. PRISMA 다이어그램 꼭 필요할까요?
네! 체계적 문헌고찰이나 메타분석을 할 때는 필수입니다. 과정을 투명하게 보여주는 중요한 도구예요.
2. PRISMA 다이어그램을 어떻게 그리나요?
공식 PRISMA 홈페이지에서 템플릿을 다운로드할 수 있어요. Excel이나 PowerPoint로 쉽게 만들 수 있어요!
3. 중복 논문은 어떻게 확인하나요?
EndNote, Rayyan 같은 문헌 관리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자동으로 중복 논문을 제거할 수 있어요.
반응형
'My Physio 논문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 헬스케어의 한계? AI 앱으로 통증 관리, 전문가 도움 필요한 이유! (0) | 2025.06.08 |
---|---|
앱으로 허리 통증 관리? SELFBACK 연구결과! (0) | 2025.06.07 |
시스템 리뷰 (Systematic Review, SR) & 메타분석 꿀팁(Meta-Analysis, MA)! PRISMA 2020 완벽 가이드 (0) | 2025.06.05 |
내 연구, 믿을 수 있을까? 연구 설계별 최고 질 평가 도구 가이드 (0) | 2025.06.04 |
비판적 질문자와 토론 리더의 힘: 온라인 토론을 살리는 역할 할당 전략! (0) | 2025.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