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물리치료, 정리하며 배우다
My Physio 논문 정리

연구 배경 섹션, 이렇게 쓰면 됩니다 | 연구 처음 시작하는 사람을 위한 가이드

by My Physio New Movement 2025. 5. 23.

🧠 연구 배경 섹션, 이렇게 쓰면 됩니다 | 연구 처음 시작하는 사람을 위한 가이드

안녕하세요, 블로그 ‘MYPT 공부하는 물리치료사’의 MYPT입니다 😊
이번 글은 “연구를 왜 시작하게 되었는지”를 설득력 있게 설명하는 글, 바로 ‘연구 배경(Background)’을 쓰는 방법을 정리해보았습니다.

특히 과제나 논문, 연구 제안서(Grant Application)를 준비할 때, 이 배경 섹션은 단순한 소개가 아니라, 연구의 필요성과 방향을 정리하는 핵심이 됩니다. 이 글을 통해, 지금 여러분이 준비하는 프로젝트에도 바로 적용해보세요.


❓ 왜 연구 배경이 중요한가요?

연구는 결국 “질문”에서 시작됩니다. 그런데 그 질문이 설득력을 가지려면, 다음과 같은 흐름이 먼저 필요합니다:

  1. 🔍 지금 이 분야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이해하고
  2. 📚 그 문제에 대해 기존에는 어떤 연구가 있었는지 정리하며
  3. 🧩 아직도 해결되지 않은 ‘연구 격차(Research Gap)’를 찾아내는 것

이 세 가지를 설명해주는 글이 바로 ‘연구 배경 섹션’이에요.


📦 배경 섹션, 이렇게 구성하면 좋아요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아래 흐름으로 생각하면 아주 쉽게 구조화할 수 있어요:

  1. 1. 시작(Hook): 왜 이 주제가 중요한지, 실제 문제나 통계로 주목 끌기
  2. 2. 문제 제시: 지금까지 해결되지 않은 핵심 문제를 명확히 말하기
  3. 3. 문헌 요약: 지금까지 어떤 연구가 있었고, 그 연구는 어떤 점에서 유의미했는지 정리
  4. 4. 연구 격차: 기존 연구가 미처 다루지 못한 부분, 즉 남아 있는 ‘빈틈’을 분석
  5. 5. 연구 방향 제시: 그래서 이 글(혹은 이 연구)은 어떤 질문을 던질 것인지 소개

이 구조는 어떤 형식의 연구든 적용 가능합니다. 특히 문헌고찰 서론이나 Grant 제안서에서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요.


🔍 연구 격차, 이렇게 찾으면 됩니다

연구 격차란, 쉽게 말하면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았거나 해결되지 않은 부분”이에요. 단순히 "연구가 없어요"가 아니라, 무엇이 부족한지 구체적으로 말할 수 있어야 합니다.

아래 7가지 유형은 다양한 연구 격차를 구조화해서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이에요:

연구 격차 유형 설명
Evidence gap 기존 연구 결과들 간에 결론이 충돌하거나 모순될 때
Knowledge gap 아예 연구가 부족하거나 존재하지 않을 때
Practical gap 현장에서 실제로는 잘 쓰이지 않거나, 실무와 연구가 연결되지 않을 때
Methodological gap 지금까지 같은 방법만 반복되어, 새로운 시각이 부족할 때
Empirical gap 이론은 있지만 실제로 검증된 데이터가 없을 때
Theoretical gap 지금까지의 연구가 이론적인 틀을 놓쳤을 때
Population gap 특정 인구(예: 노인, 아시아계 등)가 충분히 연구되지 않았을 때

이걸 통해 격차를 분류하면 글을 쓸 때 훨씬 논리적인 흐름이 생기고, 나중에 연구 질문도 자연스럽게 도출됩니다.


🧩 실제로 적용해보는 질문 예시

지금 내가 준비 중인 문헌고찰이나 연구 제안서를 돌아보며, 아래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져보세요:

  • 📌 이 주제에서 지금까지 가장 많이 연구된 내용은 무엇인가?
  • 📌 그 연구들 사이에 어떤 일관성이나 불일치가 있는가?
  • 📌 특정 인구나 환경이 제외되어 있었던 건 아닌가?
  • 📌 어떤 연구는 있지만, 실무에서는 사용되지 않고 있는가?
  • 📌 지금까지 사용된 방법 외에, 다른 방법이 가능한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이 바로 ‘연구 격차’이고, 배경 섹션에 들어갈 핵심 메시지가 됩니다.


✍️ 마무리하며: 배경은 질문의 뿌리

연구 배경은 단순한 글쓰기 항목이 아니라, 연구 전체를 관통하는 질문의 뿌리입니다.
배경을 잘 쓰면, 연구의 방향과 목적이 훨씬 분명해지고, 그 다음 단계도 훨씬 쉬워집니다.

참고자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