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계

어지럼증? 전정계(Vestibular System)를 알면 길이 보인다!

My Physio New Movement 2025. 4. 24. 09:46

 

 

🌀 어지럼증? 전정계(Vestibular System)를 알면 길이 보인다!

균형·시선·공간 인지 조절의 핵심!
우리가 넘어지지 않고, 세상을 똑바로 바라볼 수 있게 해주는 시스템이 바로 전정계예요!

오늘은 어지럼증(Vertigo)의 원인부터 진단, 재활까지 전정계의 모든 것쉽고 체계적으로 알아볼게요! 😉

1️⃣ 전정계란? (Vestibular System Overview)

  • 위치: 귀 안쪽, 내이(inner ear)에 있어요!
  • 구성:
    • 🌀 반고리관 (Semicircular Canals):
      머리 회전을 감지!
    • ⚖️ 이석기관 (Otolith Organs: Utricle & Saccule):
      직선 움직임중력 방향 감지!

전정계 구조 한눈에 보기!

구조 역할 특징
반고리관 머리 회전 감지 3개 방향 (수평, 전, 후) → 어떤 방향 회전도 감지
이석기관 (이석 + 젤리층) 직선 움직임, 중력 감지 머리가 기울어지면 이석이 움직여 감각 세포 자극

2️⃣ 어지럼증 원인별 감별 진단 (Vertigo Differential Diagnosis)

어지럼증=다 같은 게 아니에요!
어디가 문제인지에 따라 치료가 완전히 달라져요!

원인 문제 위치 주요 증상 대표 질환
말초성 내이(전정기관), 전정신경 회전성 어지럼 + 귀 증상 (이명 등) BPPV, 전정신경염
중추성 뇌간, 소뇌 어지럼 + 신경학적 증상 (복시, 운동실조 등) 뇌졸중 등
심장성 심장, 혈압 문제 실신 느낌 + 어지럼 기립성 저혈압 등

말초성 vs 중추성 어지럼증 비교표

항목 말초성 중추성
어지럼 강한 회전성, 발작적 덜 회전성, 지속적
안진 한 방향, 억제 가능 여러 방향, 억제 안 됨
신경 증상 없음 있음 (복시, 언어 장애 등)

3️⃣ BPPV (양성 돌발성 체위성 현훈) 완벽 가이드!

어지럼증 중 가장 흔한 질환!
내이 안에 있는 이석(otoconia)이 제자리에서 떨어져 나가
반고리관 안으로 들어가면 발생해요!

💡 종류별 감별 진단 & 치료법

종류 검사법 안진 방향 치료법
후반고리관 Dix-Hallpike 검사 상방 회전성 Epley maneuver
수평반고리관 Supine Roll test 수평성 BBQ roll maneuver
상반고리관 Dix-Hallpike 검사 하방 회전성 Deep head hanging

4️⃣ 전정 재활 (Vestibular Rehab) 기본 개념 & 운동법

어지럼증이 만성화되거나
전정기관 손상 후 보상을 돕기 위해!

🏃‍♂️ 3대 요소

요소 목표 대표 운동 예시
시선 안정화 (Gaze Stabilization) VOR(전정-안구 반사) 회복 VOR x1, VOR x2 (고정된 점 보며 머리 움직임)
균형 훈련 (Balance Training) 지지면, 시각 변화에 적응 한 발 서기, 폼 매트 위 걷기
습관화 (Habituation) 특정 움직임에 반응 감소 어지러운 동작 반복 훈련

5️⃣ 질환별 전정 재활 차이점!

질환 재활 목표 주요 전략
BPPV 이석 위치 교정 CRM (Epley 등) + 필요 시 재활
전정신경염 VOR 회복, 보상 촉진 시선 안정화 + 균형 훈련
메니에르병 증상 완화 + 재발 사이 재활 균형 훈련 + 시선 안정화 (조절적)

🔎 한눈에 보는 핵심 요약!

  • 1️⃣ 전정계: 귀 안에 위치! 반고리관(회전 감지), 이석기관(중력 감지)
  • 2️⃣ 어지럼증 감별: 말초성 vs 중추성 → HINTS 검사 활용
  • 3️⃣ BPPV: 가장 흔한 어지럼증! → 이석 교정 운동 (Epley 등)
  • 4️⃣ 전정 재활: 시선 안정화, 균형 훈련, 습관화! → 환자 상태 따라 맞춤 적용
  • 5️⃣ 질환별 재활 전략: 원인에 맞는 운동 처방 필요!